아트 바젤 홍콩(Art Basel Hong Kong) 2024

조회수: 1583
4월 17, 2024

글 고성연 ㅣ 사진 고성연

그래도 변화는 계속된다.



#아시아 현대미술 허브 자리를 지키겠다는 도시의 의지

1

‘브랜드 홍콩’은 건재할 것인가? 수년에 걸쳐 하늘길을 자유롭게 오가는 지구촌 여행자들의 삶에 고삐를 채운 팬데믹 기간, 이 질문을 둘러싼 우려는 더 짙어졌던 게 사실이다. 홍콩에 터를 잡고 살던 많은 국외 거주자가 떠났고, 경쟁 구도를 좋아하는 언론에서 부추기기도 했듯 그동안 ‘아시아의 문화 예술 허브’라는 타이틀을 두고 여러 이웃 나라 도시들이 대항마 내지는 복병으로 떠올랐다. 지난해 봄, 햇수로 4년 만에 다시 홍콩을 찾았을 때 고층 건물이 빽빽하게 들어선 이 ‘수직의 도시’는 마치 그간 아무 일도 없었다는 듯 여전히 바쁜 호홉으로 북적거렸지만, 뭔가 ‘공기’가 다르다는 느낌도 있었다. 어차피 연례행사 정도로 들러 잠시 머물다 가는 타지인의 시선이겠지만, 당장 글로벌 아트 페어인 아트 바젤 홍콩(Art Basel Hong Kong)만 봐도 규모가 줄어 세계 각지에서 모여든 다국적 인파가 넘치기보다는 주로 아시아인으로 복작거린 풍경 탓도 있었을 것이다.


2

●●
그래서 올봄은 걱정 반, 기대 반의 심정으로 홍콩으로 향했다. 익숙했던 얼굴이 다시 보이기를, 그리고 새로운 얼굴이 등장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아마도 아트 페어의 도시로서 함부로 넘볼 수 없는 독특한 매력과 장점을 지닌 이 도시에 대한 애정이 나름 쌓여왔나 보다. 이미 오래전 얘기지만, 사실 처음에는 그저 아시아의 대표적인 ‘금융 허브’이자 ‘쇼핑의 도시’로 알려진 홍콩에 큰 매력을 느끼지는 못했다(물론 트램을 타고 올라가면 홍콩섬과 구룡반도의 야경이 한눈에 담기는 해발 396m의 빅토리아 피크에는 경탄을 금치 못했지만). 그런데 하늘 높은 줄 모르고 치솟아오른 빌딩 숲 사이 좁다란 골목길 사이로 에스컬레이터가 뻗어 있는 생명력 강한 이 도시에서 느껴지는 특유의 다문화적 에너지가 흥미롭게 다가오기 시작했다. 그 주된 계기는 아트 바젤 홍콩이었다. 아트 페어의 부대 행사가 전개되는 여러 장소를 섭렵하다 보면 ‘학습’과 ‘발견’을 동시에 하게 되는 식이었다. 현대미술 장터를 넘어 어느덧 글로벌 축제로 자리 잡은 행사로 도시 탐험의 경계를 확장하게 된 셈이다.


3
4


●●●
결론적으로, 아트 바젤 홍콩에는 많은 ‘객’이 돌아왔다. 버틴 이들도 있고 떠난 이들도 있지만, 마치 상춘객처럼 봄에 이 도시를 다시 찾은 다국적 ‘아트 피플’의 물결을 보며 적어도 현대미술의 상업적 플랫폼 도시로서는 브랜드 가치를 아직 잃지 않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자본주의와 식민주의의 혼혈아인 자유무역항이자 무관세 지역으로 다문화를 포용할 수 있는 홍콩의 특장점은 그만큼 강력하다. 게다가 그 패권을 잃지 않으려는 노력이 비단 정부 차원만이 아니라 꽤 여러 층위에서 이뤄지고 있음이 여실히 느껴졌다. 각국 문화 예술계, 패션계 인사가 모일 수 있는 플랫폼이 여럿 개시되고, 글로벌 경매업체들이 재정비를 거쳐 새 사업장을 내세우며, 크고 작은 브랜드와 갤러리가 저마다 다른 결의 변화를 추진하는 모습도 보인다. 그리고 무엇보다 불철주야 ‘열일’ 하는 개개인의 열정이 이 도시를 잠들게 하지 않는다는 것을 새삼 느끼게 한다. 아티스트 그룹 팀랩(teamLab)의 전시가 눈부신 야경을 벗하면서 진행 중인 타마 파크에서 고운 색으로 빛나는 달걀 모양의 커다란 오브제 사이에서 즐겁게 거니는 시민들의 모습을 보니, 중국에도 영국에도 속하지 않은 특수한 정체성을 띠는 도시 홍콩이, 위기 의식을 갖고 부디 그 매력을 이어가기를 더 바라게 된다.


5
The Fair
쟁쟁한 글로벌 아트 페어는 흔히 그렇듯, 공식 개최일 전에 ‘파티’가 시작되고, 행사가 끝나도 프로그램이 이어진다. 아시아 현대미술계 최고의 명성과 최대 몸집을 자랑하는 아트 바젤 홍콩(Art Basel Hong Kong)도 그러하다. 올해는 구룡반도의 침사추이 빅토리아 독사이드에서 열린 자선 경매(3월 21일)를 비롯해 국제공항 근처에 자리한 아시아월드-엑스포에서는 글로벌 패션 행사인 ‘콤플렉스콘’이 아시아 최초로 열렸고(3월 22~24일), 같은 주말에도 도시 곳곳의 ‘아트 스페이스’에서 각종 토크 프로그램과 갤러리 투어 같은 다채로운 행사가 진행됐다. 그리고 3월 26일과 27일 VIP 프리뷰를 거쳐 아트 바젤 홍콩 2024년이 개막했다.


#아트 바젤 홍콩(Art Base Hong Kong) 2024 이모저모.



올해로 11회를 맞이한 아트 바젤 홍콩 2024년 에디션. 3월 26일과 27일 양일 VIP 프리뷰로 시작해 사흘간(28~30일)의 공식 일정을 잡은 이 글로벌 현대미술 페어에는 40개 국가와 지역의 2백42개 갤러리가 참가했는데, 이는 전년 대비 37% 증가한 규모로 팬데믹 전으로의 회귀를 알린 것이다. 이 기간 주 전시장인 홍콩 컨벤션 센터(HKCEC)를 찾은 관람객 수는 7만5천여 명. 이는 8만 명을 훌쩍 넘긴 지난해에 비해 외려 줄어든 수치다(1만 명 이상 감소했다). 전반적인 경기가 하강 국면인 탓에 미술 시장도 그 화살을 피해 가지 못한 것도 있지만, 홍콩을 둘러싼 사회정치적 분위기가 영향을 끼쳤다는 분석도 있다.


6


●● 그래도 글로벌 아트 신을 보면 대다수 아트 페어는 규모를 줄이는 데 반해 아트 바젤 홍콩은 예년 수준을 거의 되찾았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가고시안, 하우저앤워스, 데이비드 즈워너, 화이트 큐브, 리만머핀, 페로탕 등 내로라하는 갤러리들의 참여는 물론이고 프랑스의 갤러리 르롱 & 코(Galerie Lelong & Co.), 이탈리아의 갤러리 마조레 G.A.M.(Galleria d’Arte Maggiore G.A.M.), 멕시코의 쿠리만주토(Kurimanzutto), 인도의 익스페리멘터(Experimenter) 등 주목할 만한 68개의 갤러리가 공백기를 마치고 돌아왔다. 아시아, 유럽, 아프리카, 아메리카 등지에서 25개의 갤러리가 최초로 참가하기도 했다. 아무래도 팬데믹 방역 규제가 늦게 풀린 여파로 주로 아시아 방문객이 주를 이뤘던 것과 달리 관람객 풍경에 있어서도 훨씬 더 ‘다국성’이 눈에 들어오기도 했다.


7
8


●●● 다만 ‘불황’일 때 나타나는 특징이 그렇듯 갤러리들의 실적 희비 교차도 더 첨예하게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스위스 계통의 메가 갤러리 하우저앤워스가 빌럼 더 코닝의 1986년 작 ‘Untitled III’(약 1백20억 원)와 필립 거스턴의 1978년 작 유화인 ‘The Desire’(약 1백15억원)를 판매하는 등 대작 판매 소식도 알려졌지만 확실히 ‘큰손’ 고객들의 씀씀이가 돋보이기보다는 신중을 기하는 모습이 눈에 띄었고, 당연히 갤러리들이 경쟁적으로 실적 알리기에 나서던 풍경이 보이지 않았다. 올해 한국 갤러리의 경우 참가 목록 자체는 대동소이했지만, 상당수가 1층에 자리하면서 주목받고 실적도 상대적으로 양호했다는 후기가 나온다. 페어에 참가한 한국 갤러는 우선 메인 행사장인 ‘갤러리즈(Galleries)’ 섹터에는 국제갤러리를 비롯해 PKM 갤러리, 학고재, 조현화랑, 갤러리 바톤, 아라리오, 리안, 우손 등이 포함되었다. 갤러리의 메인 부스 내에서 주제 전시를 다루는 ‘캐비닛’ 섹터에는 역대 최다인 33개 갤러리가 ‘솔로 프로젝트’를 들고 나왔는데, 한국 작가 부스가 꽤 인상적이었다. 조현화랑은 지난해 작고한 박서보의 회화 시리즈를 선보였고, 티나 킴 갤러리는 몇 년 전 사고로 세상을 떠난 강석호 작가를 조명했다. 신진, 유망 작가의 개인전에 집중하는 ‘디스커버리즈(Discoveries)’ 섹터에 참가한 한국 작가 김경태(휘슬 갤러리)도 눈에 띄었다. 주로 작은 사물을 여러 초점으로 맞춰 촬영한 뒤 합성해 의도한 모든 곳이 선명한 초점을 띠는 이미지로 완성하는 기술인 ‘포커스 스태킹(focus stacking)’ 기법을 사용한 사진 작업 ‘Optical Sequence’를 선보였는데, 시선을 잡아끄는 대형 작업 옆에 실제 렌치(육각 대변의 치수가 1.5mm부터 10mm)도 전시해 대조해보는 재미를 더했다.


9
10


●●●● 아트 바젤 홍콩의 ‘인카운터스(Encounters)’ 섹터는 늘 인기를 누려온 플랫폼이다. 갤러리 부스 사이에 대형 설치 작품을 소개하는 플랫폼이라 사각형 큐브 사이에서 숨통을 트여주는 역할을 해서다. 시드니 비영리 전시 공간 아트스페이스 시드니(Artspace Sydney)의 디렉터로서 인카운터스를 오랫동안 이끌어온 알렉시 글라스-캔터(Alexie Glass-Cantor)는 올해 16개 프로젝트를 선보였다. 올해도 쿠바의 저명한 작가 요안 카포테의 ‘푸른 파도’를 연상시키며 공간을 가로지르는 작품이라든지, 호주 원주민 작가 나미나푸 메이무루-화이트의 설치 작품 ‘라라킷 포레스트(Larrakitj Forest)’ 등의 프로젝트가 관람객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일본 작가가 3명이었다). 그중에는 한국 현대미술계를 이끄는 작가인 양혜규의 작품 ‘우발적 서식지(Contingent Spheres偶然之界)’(2020, 2022)도 포함됐는데(국제갤러리, 쿠리만주토, 샹탈 크루젤 갤러리의 협업), 마닐라 현지 장인들과 협업해 탄생시킨 한 쌍의 등신대 라탄 조각과 백색 이무기를 나타낸다는 대형 조각의 어우러짐이 묘한 오라를 자아냈다. 각각 라탄과 짚풀 공예라는 수공예적인 직조 방식을 공통 제작 언어로 공유하면서 ‘우발적 서식지’라는 하나의 장면을 연출한 이 프로젝트는 개별적인 지역의 문화 환경에 기반하면서도 하나의 조각군을 이루며 ‘자연 문화(natureculture)’라는 하이브리드적 개념을 구현하려 했다고.


11
12




관련 글


01. 아트 바젤 홍콩(Art Basel Hong Kong) 2024 _ 그래도 변화는 계속된다  보러 가기
02. ‘문화 예술의 달’을 맞이한 홍콩의 봄(Hong Kong Arts Month) 2024 _ Highlights in the City  보러 가기

댓글 남기기